#당구장운영
- 큐대 쵸크 바르는 법 2017.05.03
- 당구장 창업 오피스상권 단점 및 성공전략 2017.04.30
- 당구장 쵸크 추천, 중대 / 대대 각각 다른 초크 사용 2017.04.27
큐대 쵸크 바르는 법
큐대에 쵸크칠을 제대로 못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서 벽에 붙여 놓는 방법을 추천해 보네요. 대부분은 몰라서 그러는 것이기 때문에 안내하는 벽보가 있다면 많은 분들은 자신의 잘못된 쵸크칠을 개선할 것입니다.
<큐대 쵸크 바르는 법>
쵸크를 큐대에 바르는 이유는 공을 칠 때 삑사리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아주 오래전에 개발되어 지금까지 왔는데, 일반손님들 중 대다수는 가운데 구멍에 큐대 끝을 넣고 뱅뱅 돌려서 칠하곤 합니다. 아주 잘못된 방법이지요.
1. 가운데 원을 기준으로 네 개의 모서리 쪽으로 평평하게(수평으로), 또는 살짝 비스듬하게 슥슥 한 방향으로 문지르기만 하면 됩니다. 실제로 쵸크 입자는 굉장히 미세한데, 모양이 일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벼서 칠하게 되면 그 일자 모양이 다 부서지게 됩니다. 과학적 원리로 따지면, 그 모양이 잘 살아 있는 상태여야 삑사리가 나지 않습니다.
2. 당구대에 톡톡 터는 건 아주 나쁜 습관입니다. 천 위로 쵸크가루가 떨어지게 되면 더 문제가 되며, 바깥쪽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큐의 상대가 상할 수 있어 비매너행위가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분들이 많지요. 세운채로 바닥에 톡톡 치면 과하게 묻은 쵸크가루는 떨어지게 되어 있으니 이게 제일 좋지만, 손을 지지대로 삼아 톡톡 쳐주는 것도 좋습니다.
3. 쵸크를 바른 후 털어내는 것은 그리 좋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당히 칠해져 있는 상태라면 그대로 치는 것이 삑사리의 위험에서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
4. 진짜 에티겟은 자신이 쓰는 쵸크 하나를 챙겨서 당구대에 올려놓지 않고, 테이블에 놓은 후 사용하는 것입니다. 요즘 대대에서 치는 분들은 이정도 에티겟은 잘 지키는 편입니다.
5. 구멍이 깊게 파인 쵸크는 이미 쵸크로의 기능을 상실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므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막 쓰는 분들을 배려한다면 하나씩 정도는 두는 것도 방법이겠지요. 아무리 이야기해도 말을 듣지 않을 손님은 안 들으니까요. ^^
'당구장 운영 > 소모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장 대대 운영 시 필요한 물수건 관리법 (0) | 2017.08.09 |
---|---|
당구장 하얀 분가루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0) | 2017.07.22 |
큐대 핸드그립 끼우는 방법 (0) | 2017.05.05 |
당구장 오픈할 때 꼭 필요한 당구용품 (0) | 2017.04.29 |
당구장 쵸크 추천, 중대 / 대대 각각 다른 초크 사용 (0) | 2017.04.27 |
당구장 창업 오피스상권 단점 및 성공전략
당구장을 창업하기 위해선 우선 상권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어떤 상권이냐에 따라 운영 전략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어디를 선택하든 장/단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100% 오피스상권일 경우 어떤 단점이 있고, 이걸 극복하기 위한 성공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당구장 오피스상권 단점들>
1. 주말 장사
100% 오피스상권은 주말 장사는 거의 안된다고 봐야 합니다. 가장 쉬운 예로 여의도와 같은 빌딩 숲의 오피스상권은 주말이 되면 거의 유령도시와 마찬가지로 변신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주 5일 장사라고 봐야 합니다.
2. 평일 낮 장사
평일 낮의 경우 상권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20~30대가 많은 IT 계열의 회사가 많은 경우라면 점심시간에는 미어터지도록 장사가 잘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30~40대가 많은 금융, 일반 기업이 중심이라면 꽉 차는 장사는 어렵습니다. 반대로 IT 쪽은 영업사원들이 많이 오가는 곳이 아니다 보니 오후 장사가 적은 편이지만, 다른 계열은 영업사원을 잘 잡으면 괜찮은 편입니다.
3. 저녁장사
오피스상권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은 저녁 시간에 손님이 엄청 몰린다는 것입니다. 풀당은 사실상 기본이지요. (반대로 저녁 풀당이 받쳐주지 않으면 운영이 어렵습니다.) 문제는 저녁 11시면 손님들이 다 빠진다는 사실입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문제들이 있기에 오피스상권은 뽑을 수 있을 때 확 뽑아야 하고, 나머지는 유도리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피스상권 성공전략>
1. 규모
저녁 시간에 반짝 매출을 끌어올려야 하기에, 소규모 운영으로는 수익을 많이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최소 10대 이상의 다이가 준비될 수 있어야 승산이 있습니다.
2. 서비스
점심시간 식사메뉴는 직장인들에게는 꽤나 중요합니다. 식사보다 당구가 중요할 수 있는 젊은 층이 위주가 아니라면 메뉴 구성을 잘해놓거나, 식사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공간적 세팅이 필요합니다. 점심시간에 왔는데, 식사가 별로였거나 불편했다면 이제 안 올 확률이 높습니다.
3. 동호회 운영
평일 낮, 주말, 휴일에는 장사가 잘 안되거나 거의 안되기 때문에, 동호회 운영을 하면 굉장히 좋습니다. 저녁 장사가 보장되기 때문에 나머지 시간을 동호회원들로 때울 수 있다면 고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사장님은 대대7, 중대6으로 월 1,500만 원 이상을 가져가시더군요. 동호회의 힘입니다.
4. 가격
유도리있는 가격 책정은 무척이나 중요합니다. 잘 운영하려면 전체적인 가격 조정을 잘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개별적인 가격 책정도 필요합니다. 빈 다이가 많은 오후에 오는 어르신들에게는 대폭 할인을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일반 영업사원들에겐 굳이 할인은 필요 없고, 서비스를 잘해주면 됩니다. 오피스상권이라면 필히 대리운전하는 그룹이 있을 확률이 높은데, 그들을 잡는 것도 멋진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5. 아르바이트
오피스상권은 당구를 전문적으로 치는 사람보다 가볍게 한 게임, 술 먹고 한 게임 치는 분들이 많은 곳입니다. 따라서, 친절은 기본이고, 다양한 서비스 요소를 만들어 놓으면 +가 될 수 있습니다. 예쁜 여자아르바이트는 그중에서도 핵심이지요. 저도 덕분에 이득을 많이 봤네요. ^^ 남자들만 있는 당구장에 예쁜 꽃이 있으면 그 향기가 전체를 진동시키기 마련입니다. 다만, 선을 넘은 사람은 딱 잘라주어야 합니다.
상권에 따라 규모, 운영방식, 전략 등을 다르게 세워야 웬만큼의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는 세상입니다. 아무리 열심히 해봐야 방향이 잘못되었다면 진전은 없겠지요. 내가 잘할 수 있는 그런 상권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당구장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장 추가 매출 올리기 위한 방법 (0) | 2017.06.06 |
---|---|
당구장 운영, 음료서비스 (0) | 2017.05.14 |
당구장 금연 정책 시행과 대응책 (0) | 2017.04.28 |
당구장 바닥재 데코타일, 카펫 장단점 (0) | 2017.04.24 |
당구장 영업에도 비수기 있다 (0) | 2017.04.21 |
당구장 쵸크 추천, 중대 / 대대 각각 다른 초크 사용
당구장에서 가장 많이 쓰는 소모품 중 대표적인 것은 역시 쵸크입니다. 큰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 소모품이지만, 가랑비에 옷 젖는다는 말이 있듯이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세는 비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초크를 쓰는 게 좋은지 정리해봅니다.
<당구장 쵸크 선택하기, 중대 / 대대에 따른 초크 사용>
마스타쵸크, 킹쵸크, 골드벨쵸크, 브런스윅골드크라운, 블루드래곤, 골드크라운 등등 쵸크의 종류는 굉장히 많습니다. 그렇기에 이 또한 잘 선택해서 써야 합니다. 어떻게 사용하느냐,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사용하는 기간이 달라지지요. 최소 4~5개월은 써야 정상입니다.
1. 마스타쵸크 - 초보 + 대중성
가장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모델입니다. 한 박스에 2만 원 초반대로 형성된 가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쵸크입니다. 그리고, 이도 저도 모르는 초보가 쓰기에 제일 좋기도 하고요. 하지만, 가루가 많이 날린다는 단점이 있어 어느 정도 구장을 운영해본 사장님의 경우 다른 모델로 바꾸기도 합니다.
2. 킹쵸크 - 중다이
고수가 아니라면 당구장에서 사용하는 초크에 대해서 아는 손님은 별로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마스타를 사용하는 것인데, 한 등급 높은 킹쵸크를 추천드리고 싶네요. 가루도 덜 날릴 뿐 아니라 내구성도 좋은 편이어서 박스당 몇천 원 정도 차이로 좀 더 관리하기가 용이해집니다.
하지만, 역시나 손님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굳이 이 비용을 들이지 않는 사장님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킹쵸크는 Triangle Chalk 로 부르기도 합니다. 트라이앵글이라고 하지요.
3. 골드벨 - 중다이
골드벨 모델의 경우 마스타, 킹 보다 높은 등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확실히 차이를 두고 싶다면 이걸 쓰는 게 좋겠네요. 중대 손님이지만, 어느 정도 고수분들이 있는 곳이라면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볍게 한게임 치는 손님 위주라면 킹초크 선에서 사용해도 무난합니다.
4. 브런스윅 - 대다이
대다이에서 치는 분들은 이런저런 상식을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쵸크 선정도 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브런스윅, 골드크라운을 사용합니다. 가격이 일반 쵸크보다 비싸긴 하지만, 가격 대비 성능은 확실히 보장되지요. 브런스윅은 짝퉁이 많다고 하니 골드크라운으로 쓰면 됩니다. 짝퉁 때문에 이름을 변경하여 나온 게 골드크라운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외에 다른 쵸크를 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위의 1 ~ 4 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만한 이유가 있겠지요. 어지간하면 이 범위내에서 쵸크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당구장 운영 > 소모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장 대대 운영 시 필요한 물수건 관리법 (0) | 2017.08.09 |
---|---|
당구장 하얀 분가루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0) | 2017.07.22 |
큐대 핸드그립 끼우는 방법 (0) | 2017.05.05 |
큐대 쵸크 바르는 법 (0) | 2017.05.03 |
당구장 오픈할 때 꼭 필요한 당구용품 (0) | 2017.04.29 |